メインコンテンツまでスキップ

원격 브라우저 네트워크 상태 모니터

컨테이너의 원격 브라우저와 사용자 브라우저 간의 네트워크 연결 품질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상태 모니터 사용법

  1. SHIELDGate 접속 후 업무 시스템(웹사이트) 접속 시, 상단바 우측에 네트워크 상태 아이콘이 표시됩니다.
    • 아이콘 이미지:네트워크 상태 아이콘
  2. 네트워크 상태 아이콘을 클릭하면 네트워크 상태창이 활성화됩니다.
    • 네트워크 상태 창에서 각 지표의 현재 값과 30초 평균값, 그리고 그래프를 통해 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다시 아이콘을 클릭하면 네트워크 상태창이 닫힙니다.

기본 화면 구성 및 표시되는 지표 설명

network_monitoring

1. Page Load Time (페이지 로드 시간)

웹페이지가 로드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합니다. 개별 리소스(/widget/app, /script.js, /style.css 등)의 로딩 시간을 확인하여 특정 요소가 페이지 로딩을 지연시키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 단위: ms

2. Video Information (비디오 정보)

원격 브라우저의 스트리밍 품질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냅니다.

  1. Video Codec (비디오 코덱): 현재 사용 중인 비디오 코덱을 표시합니다.
  2. Resolution (해상도): 현재 스트리밍 중인 비디오의 해상도를 나타냅니다.

3. FPS (Frames Per Second)

초당 화면에 표시되는 프레임 수, 화면의 변화가 크면 높아집니다.

  • 단위: fps
  • 문제 발생 시 조치 방안:
    • FPS가 지속적으로 15FPS 이하로 유지될 경우:
      • 네트워크 속도를 확인하세요.
      • 사용 중인 기기의 성능(CPU, GPU)을 점검하세요.
      •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무거운 프로세스를 종료하세요.

4. Bitrate (비트레이트)

초당 전송되는 데이터 양, 화면의 변화가 크면 높아집니다.

  • 단위: Mbps
  • 문제 발생 시 조치 방안:
    • Bitrate가 1Mbps 미만으로 유지될 경우:
      • 네트워크 대역폭을 확인하세요.
      • 다른 대용량 다운로드를 중지하세요.

5. Packet Loss (패킷 손실)

전송된 데이터 패킷 중 손실된 비율을 나타냅니다. 패킷 손실이 많으면 영상 끊김, 입력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단위: %

6. Latency (지연 시간)

사용자 입력이 화면에 반영되기까지의 시간

  • 단위: ms
  • 색상 기준:
    • 녹색: 0-100 ms (좋음)
    • 노란색: 100-200 ms (주의)
    • 빨간색: 200 ms 이상 (경고)
  • 문제 발생 시 조치 방안:
    • Latency가 200ms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 네트워크 환경을 점검하고, 안정적인 연결을 확보하세요.

7. Jitter (지터)

지연 시간의 변동성, 연결 안정성 지표

  • 단위: ms
  • 색상 기준:
    • 녹색: 0-30 ms (좋음)
    • 노란색: 30-100 ms (주의)
    • 빨간색: 100 ms 이상 (경고)
  • 문제 발생 시 조치 방안:
    • Jitter가 100ms 이상으로 유지될 경우:
      • 네트워크 환경이 불안정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유선 연결을 고려하세요.

8. Traffic Rate (트래픽 속도)

초당 전송되는 데이터 양, 화면의 변화가 크면 높아집니다.

  • 단위: KB/s
  • 문제 발생 시 조치 방안:
    • Traffic Rate가 비정상적으로 낮다면:
      •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점검하세요.
      • 방화벽 또는 VPN 설정을 확인하세요.

9. Total Traffic (총 트래픽)

세션 시작부터 현재까지 전송된 총 데이터 양

  • 단위: KB, MB, GB (자동 변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