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홈(대시보드)

로그인에 성공하면 웹 관리자 콘솔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며, 대시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대시보드


시스템 대시보드에서는 현재 SHIELDEX 서버의 리소스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본 대시보드는 ‘시스템 관리자’와 ‘채널 관리자’ 모두에게 표시되는 화면입니다.

*시스템 관리자 : SHIELDEX 서비스의 시스템 설정을 담당하는 관리자 (기본 무해화 정책, 관리자 설정 등)

*채널 관리자 : 시스템 내 존재하는 각 채널을 담당하는 관리자 (그룹 정책, 무해화 처리결과 관리 등)


시스템 모니터링 및 상태


‘시스템 모니터링’ 에서는 실시간 서버 리소스 현황을 제공합니다.

  • 실시간 서버 리소스(CPU, MEMORY) 값과 임계선에 대한 그래프를 제공합니다.
  • *임계선 : 서버의 CPU와 MEMORY의 이상 징후를 알 수 있는 경계 값입니다. 임계선을 초과하고, 특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 관리자에게 메일 알림을 발송할 수 있습니다.
  • SHIELDEX 제품은 CPU 연산을 많이 사용하므로 리소스 사용량이 일시적으로 90%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CPU 점유율이 90% 이상으로 10분 이상 지속될 경우, 이는 서버 사양 대비 데이터 유입량이 과도한 상태로, 서버의 이상 징후로 판단됩니다.
  • SHIELDEX 제품의 메모리는 기본적으로 80%을 넘지 않도록 설계 되어, 그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서버의 이상 징후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상태’ 에서는 실시간 서버 리소스 사용률 현황을 제공합니다.

  • 실시간 서버 **리소스(CPU, MEMORY, DISK)**의 사용률을 퍼센테이지 값으로 나타냅니다.

주요 서비스 상태


‘주요 서비스 상태’ 에서는 SHIELDEX를 구성하는 서비스들의 상태 및 무결성 검사 결과를 제공합니다.

  • 주요 서비스는 ‘관리자 웹 콘솔’, ‘무해화 인터페이스’, ‘무해화 서비스’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자동검사 혹은 수동검사를 통해 필수적인 서비스들의 무결성 상태에 대한 결과를 제공합니다.

    • 자동 검사, 수동 검사는 [관리자 설정] - [무결성 검사 관리] 탭에서 자동 검사 스케쥴러를 등록하거나 수동 검사를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여 상태 값을 표시합니다.




무해화 대시보드


웹 관리자 콘솔의 홈 화면에서 무해화 진행 현황과 처리 결과에 대한 대시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 대시보드는 “시스템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 하여 특정 채널 페이지에 접속 하거나,

“채널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 하였을 경우 표시되는 대시보드 입니다.


무해화 진행 현황


“무해화 진행 현황’ 에서는 반입 요청 파일의 무해화 진행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진행 현황은 ‘합계’, ‘대기’, ‘진행중’, ‘완료’ 로 분류되어 각 분류 별 해당 건수가 표시됩니다.

무해화 처리 결과


“무해화 처리 결과” 에서는 무해화 완료된 원본 파일의 처리 결과 및 위험도 현황을 제공합니다.

  • 일 평균 무해화 처리 속도와 월 평균 무해화 처리 속도를 표시합니다.
  • 처리 결과 : 무해화 작업이 완료된 원본 파일의 처리 결과를 표시합니다.
  • 처리 결과는 ‘완료’, ‘성공’, ‘예외’, ‘차단’ 으로 분류됩니다.
완료성공, 예외, 차단에 대한 총 합계입니다.
성공무해화가 완료된 경우에 해당합니다.
예외정책에 의해 원본 반입된 경우에 해당합니다.
차단정책에 의해 차단된 경우에 해당합니다.

-위험도 : 무해화에 성공한 파일에 대하여 원본 파일에 포함된 위험 컨텐츠 요소에 따른 위험도를 표시합니다.

  • 위험도는 ‘안전’, ‘의심’, ‘경고’, ‘위험’, ‘심각’, ‘위변조’ 으로 분류됩니다.
안전의심되는 위험요소 컨텐츠가 없는 경우입니다. (정책에 의해 원본 반입된 경우는 합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의심객체 및 하이퍼링크가 포함된 경우입니다.
경고매크로 및 액티브X가 포함된 경우입니다.
위험외부 데이터 연결이 가능한 요소가 포함된 경우입니다.
심각식별할 수 없는 컨텐츠들이 포함된 경우입니다.
위변조포맷과 확장자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입니다.